본문 바로가기
★이런 직업 어때?★

★유전체분석가★ DNA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질병 예방 및 의료 서비스를 개발한다. 직업 소개, 미래 전망, 연봉, MBTI

by 꿈다방지기 모아나 2023. 5.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꿈다방지기 모아나입니다.

오늘 소개할 직업은  
★유전체분석가 입니다.


 

 

 

한줄 소개

 

사진: Unsplash 의 Braňo

 

유전체분석가

유전체분석가는 생명체의 모든 유전 정보인 유전체를 연구 및 분석하여 질병 치료, 신약 개발 등에 활용하는 전문가입니다.

 

 

 

수행 직무

 

사진: Unsplash 의 National Cancer Institute

 

유전체분석가는 생명체의 전체 유전적 정보를 다루는 전문가로, 다양한 연구 및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그들의 주요 직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전체 데이터 분석: 유전체분석가는 고속 염기서열 분석(high-throughput sequencing)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대량의 유전체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이해하기 어려운 유전자 서열을 해독하고, 상호 작용하는 유전자 및 단백질을 규명해냅니다.

2. 생물 정보학 연구: 유전체분석가는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기술을 사용하여 유전자들의 기능, 조절 및 변이를 연구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합니다.

3. 질병 연구 및 치료 개발: 질병 발생 원인을 찾고, 개인별 질병 예방 및 치료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유전자 변이와 발현, 그리고 인간 유전자와 관련된 질병을 연구하여, 질병 발생의 유전적 기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신약 개발: 유전체분석가는 유전자와 질병 간의 관계를 연구하여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기여합니다. 특정 유전자와 단백질의 상호 작용을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약물 표적을 발견하고 차세대 의학을 선도합니다.

5. 농업 및 환경 연구: 유전체분석가는 농업 및 환경 분야에서도 활용됩니다. 식물, 동물, 미생물의 유전체를 분석하여 품종 개발, 생태계 보전 등에 기여하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전체분석가는 인류의 건강과 복지, 그리고 지구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력을 발휘하는 중요한 직업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유전체분석가는 21세기의 핵심직종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직업 전망

 

사진: Unsplash 의 National Cancer Institute

 

유전체분석가의 직업 전망은 밝은 편입니다.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함께, 생명 과학 및 의학 분야에서는 막대한 양의 유전체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가의 직업 전망이 긍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개인맞춤형 의학 분야의 성장: 개인맞춤형 의학은 환자의 유전자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예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문가의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유전체,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새로운 의학 분야입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유전체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므로 유전체분석가의 수요가 높습니다.

2. 신약 개발 분야의 확장: 전통적인 약물 개발 방식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반면,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약물 개발은 효율적이고 정확한 약물 표적 발굴이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약물 개발 분야에서의 유전체분석가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농업 및 환경 분야에서의 활용 증가: 기후변화, 인구증가 등으로 농업 및 환경 보전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식물, 동물, 미생물의 유전 정보를 활용한 품종 개발, 생태계 보전 등의 연구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서도 유전체분석가의 수요가 계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직업윤리 및 규제 강화에 따른 전문가 필요성: 유전체 정보는 개인의 사생활과 관련된 민감한 정보로, 그 처리에는 적절한 직업윤리와 규제가 요구됩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유전체분석가와 같은 전문가가 점차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입니다.

총체적으로 볼 때, 유전체분석가는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으며,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직업으로 평가됩니다. 이에 따라, 유전체분석가의 직업 전망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준비 사항
 
사진: Unsplash 의 Aaron Burden

 

유전체분석가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학과 전공, 준비사항 및 필요한 자격증 정보를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학과 및 전공: 유전체분석가로서 성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생명과학, 분자생물학, 유전학, 생화학 등과 같은 생명과학 관련 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와 더불어, 생물정보학, 통계학, 컴퓨터 과학 등에 대한 기초 지식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준비사항: 유전체분석가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준비사항이 필요합니다.
   - 연구 경험: 학부, 대학원 수준에서의 연구 프로젝트 참여 및 연구실 경험을 쌓는 것이 유리합니다.
   - 프로그래밍 능력: 생물 정보학 연구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언어(Python, R 등)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술을 습득해야 합니다.
   - 통계 지식: 유전체 데이터 분석에 활용되는 통계 기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영어 능력: 유전체분석가의 연구 결과 및 논문은 주로 영어로 작성되므로, 토론과 읽기 등에 능숙한 영어 능력이 필요합니다.

3. 필요한 자격증: 유전체분석가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격증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생명공학기사, 생명공학산업기사: 기본적인 생명공학 원리와 기술을 이해하고, 생명공학 분야에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인증하는 자격증입니다.
   -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유전체 데이터 분석을 위해 컴퓨터 시스템 및 프로그래밍 지식과 기술력을 인증하는 자격증입니다.
   - 외국어 자격증: 영어 논문 작성 및 국제 학술 행사 참여에 도움이 되는 외국어 능력을 측정하는 영어 자격증(TOEIC, TOEFL, IELTS 등)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유전체분석가의 직업 준비를 위해 학문적 기반을 다지는 동시에, 다양한 경험과 기술을 쌓으며 전문성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위의 정보를 참고하여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적성 및 능력, MBTI 

 

 

 

유전체분석가에게 필요한 적성과 능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분석적 사고력: 유전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해석하고, 복잡한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 분석적 사고력이 요구됩니다.
2. 논리적 추리능력: 가설을 세우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3. 프로그래밍 및 컴퓨터 능력: 데이터 분석과 생물정보학에서 요구되는 프로그래밍 및 컴퓨터 기술에 능숙해야 합니다.
4. 팀워크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다양한 전공 및 배경을 갖춘 연구진과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이 중요하므로, 팀워크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합니다.
5. 창의적 사고력: 새로운 아이디어와 연구 방법을 도출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이 요구됩니다.
6. 인내심과 꼼꼼함: 실험 및 연구 과정에서 세심한 관찰과 인내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전체분석가에게 어울리는 MBTI 유형으로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1. INTJ (내향-직관-사고-판단형): 이론적이고 전략적 사고를 선호하며, 계획에 따라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력 있는 이 유형은 유전체분석과 관련된 논리적 추리능력 및 분석적 사고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2. INTP (내향-직관-사고-인식형): 이 유형의 사람들은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창의적 사고를 선호하며, 분석과 연구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러한 성격은 유전체 분석에 필요한 창의력과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INFJ (내향-직관-감정-판단형): 생물학 연구와 의학 분야에 강한 동기와 책임감을 가진 INFJ는 연구 결과를 사회에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데 관심이 많습니다. 이러한 성격은 유전체분석가의 역할에 적합합니다.

4. ENTP (외향-직관-사고-인식형): 이 유형의 사람들은 원칙적이고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능숙하며,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러한 능력은 유전체분석가의 분석적 사고력과 논리적 추리능력에 부합합니다.

다양한 MBTI 유형의 사람들이 유전체분석가로 성공할 수 있지만, 위의 유형들은 특히 이 분야에서 필요한 능력과 성격을 갖추고 있어 유전체분석가의 역할에 더 잘 어울릴 수 있습니다.

 

 

이런곳에서 일해요 (채용, 진로)

 

사진: Unsplash 의 National Cancer Institute

 



1. 대학 및 연구소: 유전체분석가들은 대학, 연구소, 생명과학 관련 기관에서 교수, 연구원, 전문 연구요원 등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관에서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발굴하고, 개발하는 연구 활동을 수행합니다.

2. 제약 및 바이오 기업: 유전체분석가는 제약회사, 바이오 기술 회사에서 디스커버리 연구부장, 연구원, 프로젝트 매니저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에서는 유전자와 관련된 새로운 치료법 개발, 진단 기술 연구 및 의료용 분자 타겟 발굴 등 다양한 연구 개발 활동을 수행합니다.

3. 병원 및 임상 시설: 유전체분석가는 병원, 진단센터, 임상시험 연구기관 등에서 진단 및 질병 예측 연구, 개인 맞춤형 치료법 개발 등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유전체 정보를 활용해 진단 및 치료의 정확성을 높이고,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합니다.

4. 공공기관 및 정부 연구기관: 유전체분석가들은 공공기관, 정부 연구기관에서 과학정책, 환경보전, 식물 경작물 개발 등에 관한 연구 및 정책 수립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 개량 및 생물 다양성 보전 등을 다루는 부서에서 전문 지식과 기술력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합니다.

5. 비영리단체 및 국제기구: 유전체분석가는 비영리단체나 국제기구에서 건강, 환경, 농업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및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세계적인 쟁점 해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유전체분석가의 진로는 다양하므로, 자신의 관심 분야와 적성에 맞춰 개인의 전문성을 높이고 시장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기회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채용 및 진로를 꿈꾸시길 바랍니다.

 

 

 

연봉 정보
 

사진: Unsplash 의 Alexander Grey

연봉 정보는 많은 요인들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숫자를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유전체분석가의 대략적인 연봉 정보를 국내외 나라별로 및 경력별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 (대한민국):
- 초급 (1-3년 경력): 약 3,000만원 - 4,000만원
- 중급 (4-6년 경력): 약 4,500만원 - 6,000만원
- 고급 (7년 이상 경력): 약 6,000만원 이상

미국:
- 초급 (1-3년 경력): 약 50,000달러 - 70,000달러 (약 5,700만원 - 8,000만원)
- 중급 (4-6년 경력): 약 70,000달러 - 90,000달러 (약 8,000만원 - 10,300만원)
- 고급 (7년 이상 경력): 약 90,000달러 이상 (약 10,300만원 이상)

유럽 (예: 유럽연합 국가):
- 초급 (1-3년 경력): 약 40,000유로 - 60,000유로 (약 5,400만원 - 8,100만원)
- 중급 (4-6년 경력): 약 60,000유로 - 80,000유로 (약 8,100만원 - 10,800만원)
- 고급 (7년 이상 경력): 약 80,000유로 이상 (약 10,800만원 이상)

※ 각 나라별 환율 변동 및 지역별 생활비, 회사 크기, 인플레이션, 국가의 경제 상황 등에 따라 연봉이 변동될 수 있으니 참고로만 사용해주세요.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유전체분석가의 연봉 정보를 나라별 및 경력별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연봉 데이터는 유동적이므로, 구직 시 시장 상황과 개인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협상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활동 사례

 

유전체분석가들이 큰 영향력을 발휘한 멋진 사례 중 하나는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 HGP)"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인류의 유전정보탐구에서 역사적인 발자취를 남긴 중요한 사례로,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제목: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Human Genome Project, HGP) - 인간의 유전 코드 해독

내용: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GP)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들이 참여한 대규모 국제협력 프로젝트로, 1990년부터 2003년까지 약 13년의 시간 동안 인간의 전체 유전물질인 30억 가지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인간 DNA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습니다.

HGP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1. 인간의 전체 유전 물질인 30억 개 염기서열의 99% 이상을 해독하였습니다.
2. 인간에게서 약 20,000~25,000개의 유전자가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해 각 유전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이해가 가능해졌습니다.
3. 유전자 서열 데이터를 공개함으로써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다양한 연구 분야의 발전을 촉진하였습니다.

이러한 업적을 통해 HGP는 질병 연구, 개인 맞춤형 의학, 유전적 질환의 예방, 진단, 치료 및 약물 개발, 그리고 사회, 윤리적, 법률적 문제들에 대한 논의 등 현재와 미래의 생명과학 연구에 막대한 기여를 하였습니다.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는 수많은 유전체분석가들이 참여한 사례로, 무수히 많은 생명과학자들이 협업하여 인류에게 새로운 지식과 가능성을 열어놓은 날개가 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우리의 삶을 더욱 섬세하게 이해하고 질병 치료 및 개인 맞춤형 의학의 길을 개척하는 기반이 됩니다.

 

 

 

하루 일과 및 주요 업무

 

사진: Unsplash 의 freestocks

 


08:00 - 09:00: 출근 및 아침 식사
09:00 - 09:30: 전날의 연구 진행 상황 점검 및 일일 계획 수립
09:30 - 12:00: 연구 데이터 분석 (유전체 데이터 처리, 시각화 등)
12:00 - 13:00: 점심식사
13:00 - 15:00: 연구 논문 및 자료 검토 (최신 논문 읽기, 동료들의 작업 검토 등)
15:00 - 15:30: 팀 미팅 (연구진과 함께 최근 결과 공유 및 토론)
15:30 - 18:00: 실험 설계, 집도 실험, 검증 및 데이터 수집 업무
18:00 - 19:00: 저녁식사
19:00 - 21:00: 연구 논문 작성 (기존 연구결과 정리 및 논문 초안 작성)
21:00 - 22:00: 전날 미처 정리하지 못한 연구 자료 정리 및 연구 과제 마무리
22:00: 퇴근

유전체분석가의 하루는 주로 데이터 분석, 실험 설계 및 진행, 연구 논문 작성, 팀 미팅 등의 주요 업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만, 일과 시간은 업무 환경, 개인의 성향, 프로젝트 진행 상황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참고로만 사용해주세요. 

 

 

 

직업 인터뷰

 

 


질문 1: 유전체분석가란 어떤 직업인가요?
답변 1: 유전체분석가는 생물체의 유전물질을 분석하여 인간, 동식물 및 미생물 등의 유전자와 그 기능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전문가입니다. 유전자와 관련된 질병의 원인 및 치료법 개발, 약물 개발, 개인 맞춤형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사회에 기여합니다.

질문 2: 유전체분석가에게 필요한 학습과 경험은 무엇인가요?
답변 2: 유전체분석가가 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생명과학, 분자생물학, 유전학 등과 같은 학과에서 학사 및 대학원 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추가로 프로그래밍, 통계학, 컴퓨터 과학 등에 대한 지식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실에서의 경험 및 연구 프로젝트 참여 등도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질문 3: 유전체분석가의 연봉과 직업 전망은 어떤가요?
답변 3: 유전체분석가의 연봉은 국가, 경력, 전문성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꾸준한 수요와 함께 전문성이 높아질수록 연봉도 상승합니다. 직업 전망 면에서도 세계 각국이 생명과학 및 의학 분야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구함에 따라, 유전체분석가의 역할과 중요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질문 4: 유전체분석가의 일상 업무는 어떤 것인가요?
답변 4: 유전체분석가의 주요 업무는 유전체 데이터의 분석, 실험 설계 및 진행, 팀 미팅, 최신 연구 동향 파악 및 논문 작성 등입니다. 일과 시간과 업무 내용은 개인의 성향과 프로젝트, 회사 크기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질문 5: 유전체분석가가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는 무엇인가요?
답변 5: 유전체분석가는 생명의 기원과 복잡한 유전자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이를 통해 질병 예방, 진단, 치료의 개선, 개인 맞춤형 의학, 신약 개발 등의 분야에서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술과 지식을 제공합니다.


 

추천도서

 

사진: Unsplash 의 Annelies Geneyn



1. "The Gene: An Intimate History" – Siddhartha Mukherjee
이 책은 유전자에 대한 역사와 발전을 알차게 담아놓은 집필물입니다. 유전자가 인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에 대한 인간의 이해와 탐구가 어떻게 진화해왔는지를 알려줍니다. 유전체분석가가 되고자 하는 사람에게 기본 배경 지식을 제공해줄 것입니다.

2. "Genome: The Autobiography of a Species in 23 Chapters" - Matt Ridley
이 책은 인간의 23개 염색체를 각각의 챕터로 나누어, 각 염색체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과 역사를 소개해 줍니다. 이 책으로 유전자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할 수 있으며, 유전체분석가로서 필요한 배경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The Selfish Gene" - Richard Dawkins
리처드 도킨스의 이 책은 유전자 중심의 진화 이론을 소개하며, 독창적인 관점을 제시합니다. 유전자의 이해와 진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나누고, 유전체분석가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입니다.

4.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 Anthony J.F. Griffiths, Susan R. Wessler, Sean B. Carroll, John Doebley
이 해설서는 유전학의 기본 개념, 원리, 및 실습을 위한 가이드로, 유전자와 유전체 분석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이상적입니다. 이 책으로 통해 유전체분석가의 역할과 기술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5. "Bioinformatics Algorithms: An Active Learning Approach" - Phillip Compeau, Pavel Pevzner
이 책은 생물 정보학 및 유전체 분석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을 소개합니다. 컴퓨터 과학과 생명 과학의 접점에서 활용되는 방법론을 쉽게 배울 수 있게 도와줍니다.

 

 

 

도움되는 웹사이트

 

사진: Unsplash 의 Fabian Irsara

 

 

1. 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https://www.ncbi.nlm.nih.gov/)

NCBI는 생명과학자들을 위한 주요 정보 리소스 제공 기관으로, 여러 가지 유전체 데이터 및 도구를 제공합니다. 유전자 서열 정보,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게놈 서열 분석 툴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Ensembl - (http://www.ensembl.org/)

Ensembl은 유전자 발현, 변이, 조상 서열 등 다양한 유전체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서열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다양한 종에 대한 유전자와 게놈 데이터에 접근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3. UCSC Genome Browser - (https://genome.ucsc.edu/)

UCSC Genome Browser는 다양한 종에 대한 완전한 게놈 시퀀스와 관련 아노테이션 정보를 제공합니다. 게놈 시퀀스를 검색하고 시각화 할 수 있는 맞춤형 도구를 사용하여 유전자와 인접 지역을 검토하거나 비교할 수 있습니다.

 

4. Expasy - (https://www.expasy.org/)

Expasy는 스위스의 생물정보학 포털로, 다양한 생물학적 데이터를 포함한 프로테옴 과학 및 글리코믹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유용한 시퀀싱, 구조, 기능 등 시각화 및 분석 도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5.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 (https://www.genome.jp/kegg/)

KEGG는 유전자, 유전자 제품, 물질 대사 경로, 생명주기를 포함한 체계적인 생물 분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유전체분석가들이 유전체 정보를 기능별 데이터 경로와 연계하여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상으로 ★유전체분석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